안녕하세요. 피지오 파더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물리치료를 받을 때 주로 치료를 받게 되는 초음파 치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해요.
초음파 라고 하면 먼저 어떤게 떠오르시나요? 치료보다는 먼저 초음파 진단이 먼저 떠오르실 거예요. 임산부의 태아 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초음파 진단부터 간 검사를 위한 초음파 진단까지 다양한 검사를 위하여 초음파가 이용된답니다.
그런데 물리치료실에서도 초음파를 이용한 치료를 한답니다. 초음파 진단을 할 때와 비슷하게 초음파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겔을 피부에 바르고 초음파 헤드로 문지르는 치료가 초음파 치료입니다.

초음파 치료(ultrasound therapy)
초음파란 가청주파수(사람이 들을 수 있는 영역대의 음파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 음파를 말해요. 초음파 치료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는 보통 1 MHz 나 3 MHz를 이용합니다. 고주파인 초음파가 인체에 침투해 들어가 인체 내부의 심부 조직을 1초에 백만 번(혹은 삼백만 번)씩 진동시켜 인체의 심부 조직 내에서 자체적으로 열을 발생시켜 인체 심부에 온열 효과를 내게 됩니다.
초음파 젤을 이용하여 물리치료실에서 초음파 치료를 받게 된 경험이 다들 있으실 거예요. 치료 시간은 길게는 5분, 보통은 2,3분 정도 됩니다.
저는 몸을 무리하게 써서 근육에 손상이 오거나 혹은 다쳐서 인대가 손상되었거나 할 때는 시간이 없어 다른 치료는 안 해도 초음파 치료만큼은 꼭 한답니다. 그만큼 가성비 좋은 치료예요.
초음파 치료 "심부투열" 치료라고도 부릅니다. 말 그대로 깊게 침투해서 열을 전달하는 것이 초음파 치료의 정의이자 특징이라고 할 수 있죠. 초음파 치료를 할 때에 초음파 헤드 자체에서는 어떠한 열도 발생되지 않지만 인체 심부에 초음파가 침투해 들어가 진동을 함으로 인체 심부에 열이 발생됩니다. 그러므로 핫팩과 같은 표층 온열치료와는 완전히 다른 기전에 의해 행해지는 심부 온열치료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핫팩이 인체의 표층 조직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라면 초음파 치료는 인체의 심부 조직에 열을 가하는 방식이에요. 열이 심부에서 발생하여 밖으로 퍼져 나오는 거다. 이것은 핫팩을 적용할 때에 열이 표층에서 심부로 전도되는 것과는 반대 개념이랍니다.
초음파 치료가 외측 상과염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pdf
0.78MB
초음파 치료관련 해외 논문 자료 요약
목적: 외측 상과염은 흔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초음파 요법은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치료법 중 하나이다. 그 효과는 불확실하며, 본 논문은 메타 분석을 통해 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2021년 7월 1일 이전에 발표된 관련 연구를 Pubmed, Cochrane 라이브러리 및 Embase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했습니다. 연속형 변수는 평균의 표준차를 계산하여 비교했으며 범주형 이분형 변수는 상대 위험도를 사용하여 평가했습니다. 이질성 통계가 유의미한 경우 무작위 효과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고정 효과 모델이 사용되었습니다.
결과: 참가자 442명(초음파 치료 환자 287명과 대조군 155명)을 포함한 13건의 연구가 정량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 VAS 척도는 초음파 치료 후 현저하게 감소했습니다(P = .027). 그러나 모든 치료 후 시점에서 초음파 요법과 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유사하게, 치료 전 및 후 악력을 초음파 요법과 비교할 때 이점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P = .324). 또한 초음파 치료는 항상 오랜 시간 지속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기 및 장기 결과를 비교할 때 추가적인 이점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초음파 요법은 LE 환자의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악력에는 그러한 이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휴식 및 보조기와 같은 다른 보존적 치료에 비해 큰 이점이 없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치료와 가장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핫팩, 적외선 치료, 전기치료는 아주 깊게 들어가 봐야 겨우 1cm 정도로 손목같이 피부가 얇은 부위 빼고 우리가 실제 자극이 가길 원했던 어깨나 허리 근육까지 들어갈 순 없어요.
하지만 초음파는 적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보통 2, 3cm에서 깊게는 5cm까지도 들어가서 열을 전달하여 손상된 근육이나 힘줄 부위에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여 염증이 완화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초음파 치료를 받을 때는 위 사진처럼 젤을 피부나 초음파 헤드에 묻혀 사용을 합니다. 그 이유는 초음파 특성상 공기 중에 노출이 되면 다 반사가 되어 실제 몸속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젤을 매질로 삼아 초음파가 공기 중으로 튕기지 않고 몸 속으로 다 들어가게 하려고 젤을 바르는 것이에요.

위 그림에서 보면 초음파 헤드 위에 주파수가 쓰여있고 그 주파수에 따라 침투 깊이가 다름을 알 수 있습니다.
요즘 물리치료실에서 사용하는 초음파 치료기는 예전 초음파 치료기와 달리 특별히 초음파 헤드를 교체하지 않더라도 1 MHz와 3 MHz 주파수를 바꿔가면서 쓸 수 있기 때문에 숙련되고 생각이 있는 물리치료사라면 환자의 상태와 통증 부위에 따라 초음파 치료기의 주파수와 치료 강도를 조절해가면서 사용하는 스킬을 가지고 있을 거예요.
통증 상태가 급성이라면 치료 강도는 낮추고 간헐적으로 초음파가 들어가게 조절해야 하고 통증 상태가 만성이라면 치료 강도는 올리고 간헐적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초음파가 들어가게 조절하는 것이 가장 좋아요.
그렇다면 초음파 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초음파 치료는 주로 관절 구축 및 유착, 관절 강직, 급성 및 만성 염증성 질환, 말초 혈관 장애에 효과가 있으며 염증 완화, 칼슘 침착의 흡수, 살균 효과, 골절 치유, 관절 강직과 구축, 통증 감소시켜 준답니다.

초음파 치료의 금기증으로는
심박 조절기 착용하신 분은 치료할 수 없어요. 또한 눈과 뇌와 척수 부위에는 사용 금지입니다.
급성간염, 생식기관, 복부 기관 악성종양, 결핵, 말초 순환장애 부위에는 적용할 수 없고요 임산부일 경우 주의를 기울여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피지오 파더의 환자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압박 스타킹 효과 / 의료보험 적용 기준과 횟수 (0) | 2022.12.24 |
---|---|
회전근개 파열 재활(도수) 치료 (WCNE, 전기신경치료 영상포함) (0) | 2022.12.22 |
경피신경자극치료(TEN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0) | 2022.12.19 |
주택담보대출 대출상환 방식과 장단점/ 내 대출 어찌 갚으리오? (0) | 2022.12.02 |
주유소 사장님 난리 /고유가 기름값 절약 방법 (0) | 2022.11.29 |
댓글